맨위로가기

미국 해군참모대학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국 해군참모대학교는 1884년 설립된 군사 교육 기관으로, 해군 장교 및 고위 관계자들에게 전문적인 교육을 제공한다. 워게임과 작전 계획 개발을 통해 해군 작전에 기여했으며, 현재까지 5만 명 이상의 졸업생을 배출했다. 주요 교육 프로그램으로는 해군 지휘참모대학, 해군전쟁대학, 해양 고급 작전 학교 등이 있으며, 국가 안보 및 전략 연구 석사 학위도 수여한다. 이 학교는 출판 활동과 도서관 운영을 통해 교육 및 연구를 지원하며, 여러 건물과 시설을 갖추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미국 해군참모대학교 - [대학]에 관한 문서
개요
해군참모대학교 문장
해군참모대학교 문장
모토Viribus mari victoria
모토 (번역)해군력으로 승리
개교1884년
종류연방 참모대학
소속해군대학교 체계
위치뉴포트, 로드아일랜드 주
총장대럴 L. 워커
웹사이트해군참모대학교 공식 웹사이트
루스 홀
루스 홀
역사
국가사적지 지정1964년 1월 29일
국가사적지 등재1966년 10월 15일
건물 정보
면적4 에이커 (약 1.6 헥타르)
건축가조지 C. 메이슨 & 선

2. 역사

스티븐 B. 루스 제독의 주도로 1884년 10월 6일 미국 해군참모대학교가 설립되었다.[4] 내러개닛 만의 코스터스 하버 섬에 있는 뉴포트 빈민 수용소 건물을 사용하였다.[4] 초기 교직원으로는 미래의 육군 참모총장인 태스커 H. 블리스, 최초의 민간인 교직원이자 미래의 해군 차관인 제임스 R. 설리, 그리고 전략적 사고로 명성을 얻은 앨프레드 테이어 메이한 대령(후에 소장) 등이 있었다.[4]

해군 차관 테오도어 루스벨트가 해군참모대학교 계단에서 교직원 및 학생들과 함께 찍은 사진


1887년부터 다양한 시나리오를 워게임으로 진행했으며, 시간이 지나면서 작전 계획 개발을 위한 실험실이 되었다. 20세기의 거의 모든 미국 해군 작전은 원래 해군참모대학교에서 설계되고 워게임으로 진행되었다.[5]

1885년 9명의 학생으로 시작한 첫 번째 학급 이후 5만 명 이상의 학생들이 졸업했으며, 오늘날 현역 제독, 장성, 고위 행정부 지도자 약 300명이 동문이다. 해군참모대학교의 합동 전문 군사 교육(JPME) 프로그램은 의사 결정자이자 문제 해결자로서 남은 경력 동안 운영 및 전략적 리더십의 과제에 대비하도록 지도자를 양성한다. 1,900명 이상의 학생들이 해군 참모 연산자 과정을 졸업했고, 200명이 행정 레벨 OLW 과정을, 450명 이상의 미국 및 국제 기함 및 장군이 기함 과정을 졸업했다. 교육 프로그램이 깊이와 범위가 확장된 것처럼, 해군 전쟁 연구 센터에서 수행하는 연구 및 분석 노력도 마찬가지이다. 전쟁 게임, 회의, 워크숍 및 간행물을 통해, 연구 부서는 교육 프로그램에 직접적인 커리큘럼 지원을 제공하고, 함대 고객 및 국가 안보 전반에 걸쳐 정부 기관을 위한 과제 중심의 분석을 제공한다.

2. 1. 설립과 초기 (1884-1900)

스티븐 B. 루스 제독의 주도로 1884년 10월 6일 미국 해군참모대학교가 설립되었다.[4] 내러개닛 만의 코스터스 하버 섬에 있는 뉴포트 빈민 수용소 건물을 사용하였다.[4] 초기 교직원으로는 미래의 육군 참모총장인 태스커 H. 블리스, 최초의 민간인 교직원이자 미래의 해군 차관인 제임스 R. 설리, 그리고 전략적 사고로 명성을 얻은 앨프레드 테이어 메이한 대령(후에 소장) 등이 있었다.[4]

1887년부터 다양한 시나리오를 워게임으로 진행했으며, 20세기의 거의 모든 미국 해군 작전은 원래 해군참모대학교에서 설계되고 워게임으로 진행되었다.[5]

2. 2. 발전과 확장 (1901-1945)

1901년 캘리포니아주 몬터레이미국 해군대학원이, 1920년 워싱턴 D.C.미국 해병참모대학교가 분교로 설립되었다.[4] 해군참모대학교는 워게임을 통해 작전 계획 개발의 실험실 역할을 수행했으며, 20세기의 거의 모든 미국 해군 작전이 이곳에서 설계되었다.[5] 1914년부터 원격 교육 대학(College of Distance Education, CDE)을 통해 캠퍼스 외부로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시작했다.

2. 3. 현대 (1946-현재)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해군참모대학교는 교육 프로그램과 연구 범위를 확장했다.[5] 1990년에는 일부 프로그램 학생들에게 국가 안보 및 전략 연구 문학 석사 학위를 수여할 수 있는 권한을 얻었다.[20] 2014년 6월 6일, 브라운 대학교의 왓슨 국제연구소와 연구 및 교육 양해 각서(MOA)를 체결하여 공동 연구 및 교육을 증진하고, 장기적인 국방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 등을 협력하기로 했다.[20] 현재까지 5만 명 이상의 졸업생을 배출했으며, 이들 중에는 현역 제독, 장성, 고위 행정부 지도자 약 300명이 포함되어 있다.[5]

3. 교육 프로그램

미국 해군참모대학교는 뉴잉글랜드 고등교육위원회(NECHE)의 인증을 받았다.[10] 1984년부터 2018년까지는 뉴잉글랜드 학교 및 대학 협회의 인증을 받았으며, 이 협회의 대학 인증 기관이 분리되어 NECHE가 되었다.[11] 1990년, 미국 해군참모대학교는 일부 프로그램의 학생들에게 국가 안보 및 전략 연구 문학 석사 학위를 수여할 수 있는 권한을 얻었다.[12] 또한, 해군참모대학교 학생들은 살베 레지나 대학교의 [http://www.salve.edu/graduate-studies/international-relations 국제 관계 대학원 프로그램]으로 최대 18학점을 이전할 수 있다. 이 협정을 통해 해군참모대학교 학생들은 6개의 추가 과정을 수강하여 살베 레지나 대학교에서 국제 관계 문학 석사 학위를 취득할 수 있다.

== 해군 지휘참모대학 (College of Naval Command and Staff)==

미국 해군, 미국 해안 경비대 소령, 미국 해병대, 미국 육군, 미국 공군 소령 및 다양한 연방 기관에서 동등한 지위를 가진 민간인을 위해 설계된 다학제 프로그램이다. 이 중급 군사대학 과정은 학생들이 사령관 / 중령 및 소령 대령 / 대령으로서 증가된 책임을 준비하는 합동 전문 군사 교육의 초기 기회를 제공한다.[6]

해군 지휘참모대학 학생들은 전략과 전쟁, 극장 안보 의사 결정, 합동 해상 작전 등의 핵심 과목을 연구한다.[6] 이 기본 커리큘럼은 해군전쟁대학의 상급 학생들과 본질적으로 동일하지만, 개별 과정은 CNCS의 중급 장교의 경험 수준과 경력 요구에 맞춰져 있다. 각 학생은 삼학기당 선택 과목 프로그램 과정을 하나 수강해야 하며, 제한된 수의 학생들은 선택 위원회의 승인을 받아 해군전쟁연구센터의 고급 연구 프로그램에 참여하기 위해 핵심 커리큘럼의 최대 한 학기를 면제받을 수 있다.[6]

== 해군전쟁대학 (College of Naval Warfare)==

해군전쟁대학은 미국 해군 및 미국 해안 경비대의 소령 또는 대령, 미국 해병대, 미국 육군미국 공군의 중령 또는 대령, 그리고 여러 연방 기관에서 동등한 직급의 문관을 위한 다학제 프로그램이다. 이 고급 전문 군사 교육 프로그램은 학생들이 선임 대령 / 대령 및 준장 / 장성으로 더 높은 책임을 수행할 수 있도록 임원 수준의 준비를 제공한다.[9]

해군전쟁대학 학생들은 해군대학의 세 가지 핵심 과목인 합동 군사 작전, 전략 및 정책, 국가 안보 의사 결정 순으로 연구를 진행한다. 모든 삼학기 동안 해군전쟁대학 학생들은 해군지휘참모대학의 국제 학생들과 함께 강의와 세미나에 참여한다. 각 해군전쟁대학 학생은 또한 매 삼학기마다 자신이 선택한 선택 과목 프로그램 강좌에 등록해야 한다. 각 학급의 소수의 학생들은 선택 위원회의 승인을 받아 해군전쟁연구센터의 고급 연구 프로그램에 참여하기 위해 핵심 커리큘럼의 최대 한 삼학기를 면제받을 수 있다.[9]

== 해양 고급 작전 학교 (Maritime Advanced Warfighting School, MAWS)==

해양 고급 작전 학교(MAWS)는 1998년에 해군 작전 기획 과정으로 처음 설립된 13개월 과정이다. 모든 군의 미국 장교들에게 작전 기획자가 되고 궁극적으로 작전 지휘관이 되도록 교육하며, 해양력을 효과적으로 이해하고 적용하도록 한다. 또한 작전 기획팀(OPT)을 구성하고 이끌며, 복잡하고 혼란스러운 안보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개발하여 창의적이고 비판적으로 생각하도록 훈련시킨다.

MAWS는 해군 지휘참모대학의 핵심 교육 과정을 작전 계획 분야의 전문 교육 및 실제 프로젝트와 통합한다. MAWS는 미국 육군의 고급 군사 연구 학교(SAMS), 미국 해병대 고급 작전 학교(SAW), 미국 공군의 고급 항공 우주 연구 학교(SAASS) 및 합동 참모 대학의 합동 고급 작전 학교(JAWS)와 동등한 미국 해군의 학교이다.

== 국가 안보 담당 부서 (National Security Affairs Department)==

국가 안보 담당 부서(National Security Affairs Department, NSA)의 교육 과정은 군 장교와 연방 정부 공무원에게 현대 안보 연구의 기초를 제공하여 미국 정부가 외교 정책 결정을 어떻게 내리고 미국이 세계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분석할 수 있도록 한다.[8] 여기에는 미국 및 국제 파트너와 동맹국이 직면한 현재 및 새로운 안보 문제에 대한 분석을 개발하고 전달하는 능력, 전략적 수준에서 미국의 의사 결정 역학에 대한 이해, 그리고 미국 외교 정책의 의사 결정 및 실행, 전략 개발에 영향을 미치는 정치적, 예산, 관료적, 조직적, 리더십 요소를 평가하는 능력이 포함된다.[8] 해군 지휘참모대학을 지원하여 극장 안보 의사 결정(Theater Security Decision Making)을 가르치고, 해군 전쟁대학을 지원하여 국가 안보 의사 결정(National Security Decision Making)을 가르친다.

3. 1. 해군 지휘참모대학 (College of Naval Command and Staff)

미국 해군, 미국 해안 경비대 소령, 미국 해병대, 미국 육군, 미국 공군 소령 및 다양한 연방 기관에서 동등한 지위를 가진 민간인을 위해 설계된 다학제 프로그램이다. 이 중급 군사대학 과정은 학생들이 사령관 / 중령 및 소령 대령 / 대령으로서 증가된 책임을 준비하는 합동 전문 군사 교육의 초기 기회를 제공한다.[6]

해군 지휘참모대학 학생들은 전략과 전쟁, 극장 안보 의사 결정, 합동 해상 작전 등의 핵심 과목을 연구한다.[6] 이 기본 커리큘럼은 해군전쟁대학의 상급 학생들과 본질적으로 동일하지만, 개별 과정은 CNCS의 중급 장교의 경험 수준과 경력 요구에 맞춰져 있다. 각 학생은 삼학기당 선택 과목 프로그램 과정을 하나 수강해야 하며, 제한된 수의 학생들은 선택 위원회의 승인을 받아 해군전쟁연구센터의 고급 연구 프로그램에 참여하기 위해 핵심 커리큘럼의 최대 한 학기를 면제받을 수 있다.[6]

3. 2. 해군전쟁대학 (College of Naval Warfare)

해군전쟁대학은 미국 해군 및 미국 해안 경비대의 소령 또는 대령, 미국 해병대, 미국 육군미국 공군의 중령 또는 대령, 그리고 여러 연방 기관에서 동등한 직급의 문관을 위한 다학제 프로그램이다. 이 고급 전문 군사 교육 프로그램은 학생들이 선임 대령 / 대령 및 준장 / 장성으로 더 높은 책임을 수행할 수 있도록 임원 수준의 준비를 제공한다.[9]

해군전쟁대학 학생들은 해군대학의 세 가지 핵심 과목인 합동 군사 작전, 전략 및 정책, 국가 안보 의사 결정 순으로 연구를 진행한다. 모든 삼학기 동안 해군전쟁대학 학생들은 해군지휘참모대학의 국제 학생들과 함께 강의와 세미나에 참여한다. 각 해군전쟁대학 학생은 또한 매 삼학기마다 자신이 선택한 선택 과목 프로그램 강좌에 등록해야 한다. 각 학급의 소수의 학생들은 선택 위원회의 승인을 받아 해군전쟁연구센터의 고급 연구 프로그램에 참여하기 위해 핵심 커리큘럼의 최대 한 삼학기를 면제받을 수 있다.[9]

3. 3. 해양 고급 작전 학교 (Maritime Advanced Warfighting School, MAWS)

해양 고급 작전 학교(MAWS)는 1998년에 해군 작전 기획 과정으로 처음 설립된 13개월 과정이다. 모든 군의 미국 장교들에게 작전 기획자가 되고 궁극적으로 작전 지휘관이 되도록 교육하며, 해양력을 효과적으로 이해하고 적용하도록 한다. 또한 작전 기획팀(OPT)을 구성하고 이끌며, 복잡하고 혼란스러운 안보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개발하여 창의적이고 비판적으로 생각하도록 훈련시킨다.

MAWS는 해군 지휘참모대학의 핵심 교육 과정을 작전 계획 분야의 전문 교육 및 실제 프로젝트와 통합한다. MAWS는 미국 육군의 고급 군사 연구 학교(SAMS), 미국 해병대 고급 작전 학교(SAW), 미국 공군의 고급 항공 우주 연구 학교(SAASS) 및 합동 참모 대학의 합동 고급 작전 학교(JAWS)와 동등한 미국 해군의 학교이다.

3. 4. 국가 안보 담당 부서 (National Security Affairs Department)

국가 안보 담당 부서(National Security Affairs Department, NSA)의 교육 과정은 군 장교와 연방 정부 공무원에게 현대 안보 연구의 기초를 제공하여 미국 정부가 외교 정책 결정을 어떻게 내리고 미국이 세계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분석할 수 있도록 한다.[8] 여기에는 미국 및 국제 파트너와 동맹국이 직면한 현재 및 새로운 안보 문제에 대한 분석을 개발하고 전달하는 능력, 전략적 수준에서 미국의 의사 결정 역학에 대한 이해, 그리고 미국 외교 정책의 의사 결정 및 실행, 전략 개발에 영향을 미치는 정치적, 예산, 관료적, 조직적, 리더십 요소를 평가하는 능력이 포함된다.[8] 해군 지휘참모대학을 지원하여 극장 안보 의사 결정(Theater Security Decision Making)을 가르치고, 해군 전쟁대학을 지원하여 국가 안보 의사 결정(National Security Decision Making)을 가르친다.

4. 연구 및 출판

해군대학 출판부는 1948년부터 학술 분기 학술지인 ''해군대학 평론(Naval War College Review)''을 발행해 왔다.[13] 또한 "뉴포트 논문집"과 역사 단행본 시리즈, 그리고 간헐적으로 서적을 출판한다.[14]

헨리 E. 에클스 도서관은 휴잇 홀에 위치해 있으며, 정보 활용 능력 교육, 참고 자료 튜토리얼 및 지원, 전자 문헌 검색, 90개 이상의 데이터베이스 접근, 그리고 전문 군사 교육/연합 전문 군사 교육, 교수진 연구 및 분석, 그리고 원격 교육 대학에 대한 상호 대차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미국 해군참모대학교의 임무를 지원한다.

도서관은 또한 국제 관계, 외교 지역 연구, 현대 및 역사적 군사 주제, 그리고 안보 연구를 공부하는 사람들의 관심사에 대한 광범위한 주제를 다루는 참고 문헌 및 연구 안내서를 출판하고, 교수진 연구를 지원함으로써 교육 과정 개발을 돕는다.[15]

해군 역사 컬렉션(NHC)은 미국 해군참모대학교 기록 보관소, 원고, 구술사, 그리고 내러갠셋 만의 해군 전사 및 미국 해군 역사와 관련된 특별 컬렉션의 저장소이다.[16] 1969년에 설립되어 메이한 홀에 위치한 NHC의 주요 자료는 해군 역사학자, 학자, 미국 군사 및 외교사 연구 학생, 미국 해군참모대학교 학생, 교수진 및 직원, 그리고 일반 대중에게 관심이 있다.[16]

4. 1. 헨리 E. 에클스 도서관

헨리 E. 에클스 도서관은 휴잇 홀에 위치해 있으며, 정보 활용 능력 교육, 참고 자료 튜토리얼 및 지원, 전자 문헌 검색, 90개 이상의 데이터베이스 접근, 그리고 전문 군사 교육/연합 전문 군사 교육, 교수진 연구 및 분석, 원격 교육 대학에 대한 상호 대차 서비스를 제공한다.[15]

도서관은 또한 국제 관계, 외교 지역 연구, 현대 및 역사적 군사 주제, 안보 연구를 공부하는 사람들의 관심사에 대한 광범위한 주제를 다루는 참고 문헌 및 연구 안내서를 출판하고, 교수진 연구를 지원한다.[15]

4. 2. 해군 역사 컬렉션 (NHC)

해군 역사 컬렉션(NHC)은 해군참모대학교 기록 보관소, 원고, 구술사, 그리고 내러갠셋 만의 해군 전사 및 미국 해군 역사와 관련된 특별 컬렉션의 저장소이다.[16] 1969년에 설립되어 메이한 홀에 위치한 NHC의 주요 자료는 해군 역사학자, 학자, 미국 군사 및 외교사 연구 학생, 해군참모대학교 학생, 교수진 및 직원, 그리고 일반 대중에게 관심이 있다.[16]

4. 3. 해군대학 출판부

해군대학 출판부는 1948년부터 학술 분기 학술지인 ''해군대학 평론(Naval War College Review)''을 발행해 왔다.[13] 또한 "뉴포트 논문집"과 역사 단행본 시리즈, 그리고 간헐적으로 서적을 출판한다.[14]

5. 건물 및 시설

내러개짓 만 동쪽 해협에서 바라본 초기 미국 해군참모대학교 사진


미국 해군참모대학교는 수년에 걸쳐 크게 확장되었다. 원래 건물은 이전의 뉴포트 빈민 구호소였으며, 현재는 미국 해군참모대학교 박물관으로 사용되고 있다.

미국 해군참모대학교 박물관이 된 파운더스 홀


1892년, 루스 홀(Luce Hall)이 10만 달러의 비용으로 대학의 새로운 건물로 문을 열었다. 당시 건물에는 강의실과 도서관이 있었다. 양쪽 끝에 있는 날개에는 대학 총장과 교직원들이 사용하던 두 개의 숙소가 있었다. 1932년 미국 해군참모대학교가 확장되었을 때, 이 원래 건물은 이 학교의 설립자이자 초대 총장(후에 총장)인 스티븐 B. 루스(Stephen B. Luce)를 기려 루스 홀로 개명되었다. 이 두 개의 원래 건물은 1964년에 국가 사적지로 지정되었고, 국가 사적 등록부에 등재되었다.[1][17] 루스 홀은 1972년에 다시 국가 사적 등록부에 등재되었다.[2]

앨프레드 세이어 메이언(Alfred Thayer Mahan) 제독(1886–1889년 및 1892–1893년 미국 해군참모대학교 총장)의 이름을 딴 메이언 홀은 1904년에 완공되어 문을 열었으며, 역사적인 메이언 로툰다(Rotunda)와 열람실, 그리고 학생들의 학습 공간을 포함하고 있다. 메이언 로툰다는 또한 졸업하는 국제 학생들이 수년간 기증한 선물과 유물을 전시하는 즉석 박물관으로도 사용된다.

조엘 R. P. 프링글(Joel R. P. Pringle) 부제독(1927–1930년 미국 해군참모대학교 총장)의 이름을 딴 프링글 홀은 1934년에 문을 열었으며, 1934년 완공된 이후 1957년 심스 홀에 해군 전자전 시뮬레이터가 건설될 때까지 전쟁 게임의 주요 장소였다. 건물의 외벽은 루스 홀의 애시러 화강암과 외관이 비슷한 분홍색의 밀포드 화강암(Milford granite)으로 마감되었으며, 두 개의 밀폐된 다리로 연결되어 있다. 프링글 홀에는 432석 규모의 강당, 퀸 강의실, 해군 참모대학, 그래픽 아트 스튜디오, 사진 분과, 그리고 미국 해군참모대학교 출판사가 있다.

1947년, 미국 해군참모대학교는 기존의 병영 건물을 인수하여 보조 전쟁 게임 시설로 전환하고, 전 미국 해군참모대학교 총장 윌리엄 소든 심스(William Sowden Sims) 제독(1917년 2월부터 4월까지, 그리고 1919–1922년 다시 미국 해군참모대학교 총장)의 이름을 따서 심스 홀이라고 명명했다. 1957년 심스 홀은 미국 해군참모대학교의 전쟁 게임 부서의 주요 중심지가 되었으며, 1999년까지 그 역할을 수행했다. 심스 홀은 2021년에 완료될 것으로 예상되는 개조 공사를 진행 중이다.[18]

1970년대는 전쟁 대학의 가장 활발한 확장 시기였으며, 세 개의 별도 건물이 문을 열었다. 1972년, 전 미국 해군참모대학교 총장 레이먼드 A. 스프루언스(Raymond A. Spruance) 제독(1946년 3월 – 1948년 7월)의 이름을 딴 스프루언스 홀이 완공되어 교직원 사무실과 1,100석 규모의 강당이 들어섰다. 1975년 3월 17일, 조니 캐시(Johnny Cash)는 테네시 쓰리(The Tennessee Three)와 함께 준 카터 캐시(June Carter Cash) 및 칼 리 퍼킨스(Carl Lee Perkins)를 포함하여 스프루언스 강당에서 라이브 콘서트를 열었다.[19]

1974년에는 1950–1953년 미국 해군참모대학교 총장을 역임한 리처드 L. 코놀리(Richard L. Conolly) 제독의 이름을 따서 코놀리 홀이 문을 열었다. 코놀리 홀에는 미국 해군참모대학교 쿼터데크, 행정 및 교직원 사무실, 수많은 수업 및 회의실, 그리고 두 개의 지하 주차장이 있다.

1976년에는 미국 해군참모대학교 총장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지 않은 두 건물 중 하나인 휴잇 홀이 문을 열었으며, 이번에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유럽 주둔 미국 해군(U.S. Naval Forces Europe) 사령관으로 재임하는 동안 미국 해군참모대학교의 고문이었던 헨리 켄트 휴잇(Henry Kent Hewitt) 제독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휴잇 홀에는 헨리 E. 에클스(Henry E. Eccles) 도서관, 트라이던트(Trident) 카페, 서점 및 이발소, 학생 학습 공간 및 라운지가 있다.

1999년, 최첨단 맥카티 리틀 홀이 문을 열면서 전쟁 대학의 주요 전쟁 게임 시설로서 심스 홀을 대체했다. 총장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지 않은 다른 건물은 전쟁 게임 기술을 개선하는 데 영향력 있는 지도자이자 핵심 인물인 윌리엄 맥카티 리틀(William McCarty Little) 대위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이 첨단 기술 시설은 주로 해군전쟁연구센터에서 전쟁 게임 및 주요 회의를 개최하고 연구 및 분석을 수행하는 데 사용된다. 이 건물은 여러 번의 동시 전쟁 게임 동안 필수적인 다양한 멀티미디어 요구 사항을 지원하는 데 필요한 기술을 갖추고 있다.

5. 1. 루스 홀 (Luce Hall)



미국 해군참모대학교는 수년에 걸쳐 크게 확장되었다. 1892년, 루스 홀(Luce Hall)이 10만 달러의 비용으로 대학의 새로운 건물로 문을 열었다.[1][17] 당시 건물에는 강의실과 도서관이 있었고, 양쪽 끝에 있는 날개에는 대학 총장과 교직원들이 사용하던 두 개의 숙소가 있었다. 1932년 미국 해군참모대학교가 확장되었을 때, 이 원래 건물은 이 학교의 설립자이자 초대 총장(후에 총장)인 스티븐 B. 루스(Stephen B. Luce)를 기려 루스 홀로 개명되었다. 이 두 개의 원래 건물은 1964년에 국가 사적지로 지정되었고, 국가 사적 등록부에 등재되었다.[1][17] 루스 홀은 1972년에 다시 국가 사적 등록부에 등재되었다.[2]

5. 2. 메이한 홀 (Mahan Hall)

앨프레드 세이어 메이언 제독(1886–1889년 및 1892–1893년 미국 해군참모대학교 총장)의 이름을 딴 메이언 홀은 1904년에 완공되어 문을 열었다.[1] 역사적인 메이언 로툰다(Rotunda)와 열람실, 그리고 학생들의 학습 공간을 포함하고 있다.[1] 메이언 로툰다는 또한 졸업하는 국제 학생들이 수년간 기증한 선물과 유물을 전시하는 즉석 박물관으로도 사용된다.[1]

5. 3. 프링글 홀 (Pringle Hall)

조엘 R. P. 프링글(Joel R. P. Pringle) 부제독(1927–1930년 미국 해군참모대학교 총장)의 이름을 딴 프링글 홀은 1934년에 문을 열었다.[1] 건물의 외벽은 루스 홀의 애시러 화강암과 외관이 비슷한 분홍색의 밀포드 화강암(Milford granite)으로 마감되었으며, 두 개의 밀폐된 다리로 연결되어 있다.[1] 프링글 홀에는 432석 규모의 강당, 퀸 강의실, 해군 참모대학, 그래픽 아트 스튜디오, 사진 분과, 그리고 미국 해군참모대학교 출판사가 있다.[1] 1957년 심스 홀에 해군 전자전 시뮬레이터가 건설될 때까지 전쟁 게임의 주요 장소였다.[1]

5. 4. 심스 홀 (Sims Hall)

1947년, 미국 해군참모대학교는 기존의 병영 건물을 인수하여 보조 전쟁 게임 시설로 전환하고, 전 미국 해군참모대학교 총장 윌리엄 소든 심스(1917년 2월부터 4월까지, 그리고 1919–1922년 다시 미국 해군참모대학교 총장)의 이름을 따서 심스 홀이라고 명명했다.[18] 1957년 심스 홀은 미국 해군참모대학교의 전쟁 게임 부서의 주요 중심지가 되었으며, 1999년까지 그 역할을 수행했다.[18] 심스 홀은 2021년에 완료될 것으로 예상되는 개조 공사를 진행 중이다.[18]

5. 5. 스프루언스 홀 (Spruance Hall)

1972년 완공되었으며, 레이먼드 A. 스프루언스(Raymond A. Spruance) 제독(1946년 3월 – 1948년 7월)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19] 스프루언스 홀에는 교직원 사무실과 1,100석 규모의 강당이 있다. 1975년 3월 17일, 조니 캐시(Johnny Cash)는 테네시 쓰리(The Tennessee Three)와 함께 준 카터 캐시(June Carter Cash) 및 칼 리 퍼킨스(Carl Lee Perkins)를 포함하여 스프루언스 강당에서 라이브 콘서트를 열었다.[19]

5. 6. 코놀리 홀 (Conolly Hall)

1974년, 1950년부터 1953년까지 미국 해군참모대학교 총장을 역임한 리처드 L. 코놀리(Richard L. Conolly) 제독의 이름을 따서 코놀리 홀이 완공되었다.[1] 코놀리 홀에는 미국 해군참모대학교 쿼터데크, 행정 및 교직원 사무실, 수많은 수업 및 회의실, 그리고 두 개의 지하 주차장이 있다.[1]

5. 7. 휴잇 홀 (Hewitt Hall)

1976년에 완공된 휴잇 홀은 헨리 켄트 휴잇(Henry Kent Hewitt) 제독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18] 휴잇 제독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유럽 주둔 미국 해군(U.S. Naval Forces Europe) 사령관으로 재임하면서 미국 해군참모대학교의 고문이었다.[18] 휴잇 홀에는 헨리 E. 에클스(Henry E. Eccles) 도서관, 트라이던트(Trident) 카페, 서점, 이발소, 학생 학습 공간 및 라운지가 있다.

5. 8. 맥카티 리틀 홀 (McCarty Little Hall)

1999년에 완공된 맥카티 리틀 홀은 미국 해군참모대학교의 최첨단 전쟁 게임 시설이다.[18] 이 건물은 전쟁 게임 기술 발전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 윌리엄 맥카티 리틀(William McCarty Little) 대위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18] 이 시설은 주로 해군전쟁연구센터에서 전쟁 게임, 주요 회의 개최, 연구 및 분석 수행에 사용되며, 여러 번의 동시 전쟁 게임에 필요한 다양한 멀티미디어 요구 사항을 지원하는 기술을 갖추고 있다.[18]

6. 저명한 동문

2021년 9월 15일 제24회 국제 해양력 심포지엄(ISS)에서 해군참모대학교 동문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 자히르 우딘 아흐메드(Zahir Uddin Ahmed) 제독, 방글라데시 해군 참모총장(Chief of the Naval Staff), 2009-2013
  • 토마스 고메즈 아로요(Tomás Gomez Arroyo) 제독, 스페인 해군, 1972-1973년
  • 파나기오티스 치노포티스(Panagiotis Chinofotis) 제독, 그리스 국방 참모총장, 2005–?
  • 벤자민 오헤네-콰퐁(Benjamin Ohene-Kwapong) 소장, 가나 해군 참모총장, 1985–1990년
  • 아룬 프라카시(Arun Prakash) 제독, 인도 해군 참모총장, 인도 참모총장 위원회 의장, 2004–2006년
  • 모하메드 파리드 하비브(Mohammed Farid Habib) 제독, 방글라데시 해군 참모총장, 2013–현재
  • 카말 하비볼라히(Kamal Habibollahi) 제독, 제국 이란 해군 마지막 사령관, 1975–1979년
  • 라이 청 한(Lai Chung Han) 소장, 싱가포르 공화국 해군 참모총장, 2014–2017년
  • 데벤드라 쿠마르 조쉬(Devendra Kumar Joshi) 제독, 인도 해군 참모총장, 2012–2014년
  • 에밀 라후드(Émile Lahoud) 대통령, 1998년 11월부터 2007년 11월까지 제15대 레바논 대통령
  • 라다크리슈나 하리람 타힐리아니(Radhakrishna Hariram Tahiliani) 제독, 인도 해군 참모총장, 1984–1987년
  • 마테오 M. 마유가(Mateo M Mayuga) 중장, 필리핀 해군 사령관, 2010년 12월 9일 – 2007년 12월 9일
  • 마크 멜렛(Mark Mellett) 중장, 아일랜드 국방군 참모총장, 2015–2021년
  • 니르말 쿠마르 베르마(Nirmal Kumar Verma) 제독, 인도 해군 참모총장, 2009–2012년
  • 티사라 사마라싱헤(Thisara Samarasinghe) 제독, 스리랑카 해군 사령관 (2009–2011) 및 호주 주재 스리랑카 고등판무관
  • 러스 셜더스(Russ Shalders) 중장, 호주 해군 참모총장, 2005–2008년
  • 프레드라그 스티파노비치(Predrag Stipanović) 소장, 크로아티아 해군 사령관 (2015–현재)
  • 호칸 쉬렌(Håkan Syrén) 장군, 스웨덴 국군 최고 사령관, 2003–2009; 유럽 연합 군사 위원회 의장, 2009–?
  • 코 툰-화(Ko Tun-hwa) 중장, 전 중화민국 국방부 차관, 현재 중화민국(대만) 대통령 국가 정책 고문
  • 통가의 투포우 6세(Tupou VI), ʻ아호에이투 ʻ우누아키오통가 투쿠아호(ʻAhoʻeitu ʻUnuakiʻotonga Tukuʻaho)
  • 모한 위제위크라마(Mohan Wijewickrama) 소장, 동부 주(스리랑카) 주지사 및 전 스리랑카 해군 참모총장
  • 아흐마드 카마룰자만(Ahmad Kamarulzaman) 제독, 말레이시아 왕립 해군 참모총장, 2015년 11월 18일 – 현재
  • 에드문도 네스토르 마틴 펠릭스 피멘텔(Edmundo Nestor Martin Felix Pimentel) 중장, 도미니카 공화국 해군 참모총장, 2014년 2월 - 2016년 2월. 현재 국립 마약 통제 국장(DNCD)
  • 미겔 E. 페냐 아코스타(Miguel E. Peña Acosta) 중장, 도미니카 공화국 해군 참모총장, 2016년 2월 – 현재
  • 로물로 에스팔돈(Romulo Espaldon) 소장, 필리핀 해군 초대 소장
  • 신시 응히판두아(Sinsy Nghipandua) 소장, 제2대 나미비아 해군 사령관
  • 아델루이스 보르도(Adeluis Bordado) 중장, 필리핀 해군 사령관
  • 이사 아담 야쿠부(Issah Adam Yakubu), 가나 해군 참모총장


;해군

  • 제레미 마이클 보르다 제독은 제25대 해군참모총장을 역임했다.(1994–1996) 보르다 제독은 해군 개혁에 힘쓴 인물로 평가할 수 있다.
  • 엘모 줌월트 제독은 제19대 해군참모총장을 역임했다.(1970-1974) 줌월트 제독은 해군 현대화와 인종차별 철폐에 기여한 인물로 평가할 수 있다.
  • 윌리엄 F. 할시 주니어 원수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제3함대 사령관을 역임하였다. 할시 제독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활약한 인물이나, 과도한 공격성으로 비판받기도 한다.
  • 체스터 W. 니미츠 원수는 태평양 함대 사령관(1941-1945), 제10대 해군참모총장(1945–1947)을 역임했다. 니미츠 원수는 태평양 전쟁을 승리로 이끈 명장으로 평가할 수 있다.
  • 앨런 셰퍼드 소장은 1961년 미국 최초의 우주 비행사였으며, 1971년 달 착륙에 성공한 인물이다.
  • 윌리엄 J. 팔론 제독, 미국 태평양 사령부 사령관(2005–2007), 미국 중부 사령부 사령관(2007–2008)
  • 마크 P. 피츠제럴드 제독, 미국 해군 유럽 사령관 및 나폴리 연합 합동군 사령부(2007–2010)
  • 켄트 휴이트 제독, 제2차 세계 대전 훈장 수훈자(해군 십자 훈장 2회 수상)
  • 해군 원수 어니스트 J. 킹, 초대 미국 함대 사령관 겸 제9대 해군참모총장(1942–1945)
  • 제독 조지 맥밀린, 제38대이자 마지막 괌 해군 총독, 1940–1941년 괌 전투에서 제2차 세계 대전 최초의 포로 중 한 명
  • 토머스 H. 무어러 제독, 제18대 해군참모총장(1967–1970), 합참의장(1970–1974)
  • 레이먼드 스프루언스 제독, 제2차 세계 대전 중 제5함대 사령관
  • 제임스 G. 스타브리디스 제독, 유럽 연합군 최고 사령관(2009–2013)
  • 카를로스 델 토로 예비역 해군 중령, 제78대 미국 해군부 장관(2021–현재)


;해병대

  • 월터 보머(Walter Boomer) 미국 해병대(U.S. Marine Corps) 사령관 보좌관, 1992–1994
  • 제임스 E. 카트라이트(James E. Cartwright) 미국 해병대, 합동참모차장(2007–2011)
  • 마이클 헤이지(Michael Hagee) 미국 해병대, 미국 해병대 사령관(2003–2006)


;육군

  • 랜디 조지 대장, 미국 육군 참모총장(2023년–현재)
  • 스탠리 맥크리스털 대장, 국제 안보 지원군/아프가니스탄 주둔 미군 사령관(2009년–2010년)
  • 존 샬리카슈빌리 대장, 합참의장(1993년–1997년)
  • 레이먼드 T. 오디어노 대장, 미국 육군 참모총장(2011년–2015년)
  • 마이클 플린 중장, 국방정보국 국장(2012년–2014년)
  • 마크 밀리 대장, 합참의장(2019년–2023년)
  • 윌리엄 E. 고트니 제독, 미국 함대 전력 사령부 사령관(2012–2014), 미국 북부 사령부 사령관 및 북미 항공우주 방위 사령부 사령관(2014–2016)
  • 데이비드 C. 니콜스 주니어 중장, 미국 해군 중부 사령부/미국 제5함대 사령관(2003–2005), 미국 중부 사령부 부사령관(2005–2007)


;공군

  • 찰스 A. 개브리얼(Charles A. Gabriel) 대장, 미국 공군 참모총장(1982–1986)
  • 브루스 칼슨 대장, 공군 물자 사령부(Air Force Materiel Command) 사령관(2005–2008)
  • 존 코얼리 대장, 공군 전투 사령부(Air Combat Command) 사령관(2007–2009)
  • 존 고든 대장, 중앙정보국 부국장(1997–2000)
  • 리처드 호울리 대장, 공군 전투 사령부 사령관(1996–1999)
  • C. 로버트 케일러 대장, 공군 우주 사령부(Air Force Space Command) 사령관(2007–2011), 미국 전략 사령부(U.S. Strategic Command) 사령관(2011–2013)
  • 로버트 오크스 대장, 전술 공군 사령부(Tactical Air Command) 사령관(1984–1985)
  • 제롬 오'맬리 대장, 유럽 주재 미국 공군(United States Air Forces in Europe) 사령관(1990–1994)


;우주군

  • 존 W. 레이먼드 미국 우주군(USSF) 대장, 우주 작전 최고 책임자(2019–2022)
  • 브리 프램 미국 우주군(USSF) 대령


;해안경비대

  • 존 B. 헤이즈 미국 해안경비대 제독, 미국 해안경비대 사령관(1978년 - 1982년)
  • 로버트 E. 크라멕 미국 해안경비대 제독, 미국 해안경비대 사령관(1990년–1994년)
  • 로버트 J. 파프 주니어 미국 해안경비대 제독, 미국 해안경비대 사령관(2010년–2014년)
  • 폴 F. 춘프트 미국 해안경비대 제독, 미국 해안경비대 사령관(2014년–2018년)


;외교

  • 크리스토퍼 R. 힐, 이라크 주재 미국 대사(2009–2010), 동아시아 및 태평양 담당 차관보(2005–2009)는 북핵 문제 해결에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 미국의 대표적인 외교관이다. 특히 6자 회담 수석대표로 활동하며 북한과의 협상을 주도, 북핵 문제 해결에 크게 기여했다.
  • 제임스 B. 스미스, 사우디아라비아 주재 미국 대사(2009–2013)
  • 브라이스 프레데릭, 미국 국무부 외교 보안 (DS) 특별 요원(2019–2021)


;민간

  • 숀 스파이서, 제30대 백악관 대변인을 역임했다. 2017년부터 2017년까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에서 백악관 대변인으로 활동하며 잦은 거짓말과 과장된 발언으로 논란을 일으켰다.
  • 캣 캐맥, 미국 하원의원, 플로리다 제3선거구(2021-)
  • 프랭크 히메네즈, 전 미국 해군부 법률 고문(2006–2009)
  • 휴고 토이펠 3세, 제2대 미국 국토안보부 최고 정보 보호 책임자(2006–2009)

6. 1. 미국



;해군

  • 제레미 마이클 보르다 제독은 제25대 해군참모총장을 역임했다.(1994–1996) 보르다 제독은 해군 개혁에 힘쓴 인물로 평가할 수 있다.
  • 엘모 줌월트 제독은 제19대 해군참모총장을 역임했다.(1970-1974) 줌월트 제독은 해군 현대화와 인종차별 철폐에 기여한 인물로 평가할 수 있다.
  • 윌리엄 F. 할시 주니어 원수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제3함대 사령관을 역임하였다. 할시 제독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활약한 인물이나, 과도한 공격성으로 비판받기도 한다.
  • 체스터 W. 니미츠 원수는 태평양 함대 사령관(1941-1945), 제10대 해군참모총장(1945–1947)을 역임했다. 니미츠 원수는 태평양 전쟁을 승리로 이끈 명장으로 평가할 수 있다.
  • 앨런 셰퍼드 소장은 1961년 미국 최초의 우주 비행사였으며, 1971년 달 착륙에 성공한 인물이다.
  • 윌리엄 J. 팔론 제독, 미국 태평양 사령부 사령관(2005–2007), 미국 중부 사령부 사령관(2007–2008)
  • 마크 P. 피츠제럴드 제독, 미국 해군 유럽 사령관 및 나폴리 연합 합동군 사령부(2007–2010)
  • 켄트 휴이트 제독, 제2차 세계 대전 훈장 수훈자(해군 십자 훈장 2회 수상)
  • 해군 원수 어니스트 J. 킹, 초대 미국 함대 사령관 겸 제9대 해군참모총장(1942–1945)
  • 제독 조지 맥밀린, 제38대이자 마지막 괌 해군 총독, 1940–1941년 괌 전투에서 제2차 세계 대전 최초의 포로 중 한 명
  • 토머스 H. 무어러 제독, 제18대 해군참모총장(1967–1970), 합참의장(1970–1974)
  • 레이먼드 스프루언스 제독, 제2차 세계 대전 중 제5함대 사령관
  • 제임스 G. 스타브리디스 제독, 유럽 연합군 최고 사령관(2009–2013)
  • 카를로스 델 토로 예비역 해군 중령, 제78대 미국 해군부 장관(2021–현재)


;해병대

  • 월터 보머(Walter Boomer) 미국 해병대(U.S. Marine Corps) 사령관 보좌관, 1992–1994
  • 제임스 E. 카트라이트(James E. Cartwright) 미국 해병대, 합동참모차장(2007–2011)
  • 마이클 헤이지(Michael Hagee) 미국 해병대, 미국 해병대 사령관(2003–2006)


;육군

  • 랜디 조지 대장, 미국 육군 참모총장(2023년–현재)
  • 스탠리 맥크리스털 대장, 국제 안보 지원군/아프가니스탄 주둔 미군 사령관(2009년–2010년)
  • 존 샬리카슈빌리 대장, 합참의장(1993년–1997년)
  • 레이먼드 T. 오디어노 대장, 미국 육군 참모총장(2011년–2015년)
  • 마이클 플린 중장, 국방정보국 국장(2012년–2014년)
  • 마크 밀리 대장, 합참의장(2019년–2023년)
  • 윌리엄 E. 고트니 제독, 미국 함대 전력 사령부 사령관(2012–2014), 미국 북부 사령부 사령관 및 북미 항공우주 방위 사령부 사령관(2014–2016)
  • 데이비드 C. 니콜스 주니어 중장, 미국 해군 중부 사령부/미국 제5함대 사령관(2003–2005), 미국 중부 사령부 부사령관(2005–2007)


;공군

  • 찰스 A. 개브리얼(Charles A. Gabriel) 대장, 미국 공군 참모총장(1982–1986)
  • 공군 대장 브루스 칼슨(Bruce Carlson), 공군 물자 사령부(Air Force Materiel Command) 사령관(2005–2008)
  • 공군 대장 존 코얼리(John D. W. Corley), 공군 전투 사령부(Air Combat Command) 사령관(2007–2009)
  • 공군 대장 존 고든(John A. Gordon), 중앙정보국 부국장(1997–2000)
  • 공군 대장 리처드 호울리(Richard E. Hawley), 공군 전투 사령부 사령관(1996–1999)
  • 공군 대장 C. 로버트 케일러(C. Robert Kehler), 공군 우주 사령부(Air Force Space Command) 사령관(2007–2011), 미국 전략 사령부(U.S. Strategic Command) 사령관(2011–2013)
  • 공군 대장 로버트 오크스(Robert C. Oaks), 전술 공군 사령부(Tactical Air Command) 사령관(1984–1985)
  • 공군 대장 제롬 오'맬리(Jerome F. O'Malley), 유럽 주재 미국 공군(United States Air Forces in Europe) 사령관(1990–1994)


;우주군

  • 존 W. 레이먼드 미국 우주군(USSF) 대장, 우주 작전 최고 책임자(2019–2022)
  • 브리 프램 미국 우주군(USSF) 대령


;해안경비대

  • 존 B. 헤이즈 미국 해안경비대 제독, 미국 해안경비대 사령관(1978년 - 1982년)
  • 로버트 E. 크라멕 미국 해안경비대 제독, 미국 해안경비대 사령관(1990년–1994년)
  • 로버트 J. 파프 주니어 미국 해안경비대 제독, 미국 해안경비대 사령관(2010년–2014년)
  • 폴 F. 춘프트 미국 해안경비대 제독, 미국 해안경비대 사령관(2014년–2018년)


;외교

  • 크리스토퍼 R. 힐, 이라크 주재 미국 대사(2009–2010), 동아시아 및 태평양 담당 차관보(2005–2009)는 북핵 문제 해결에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 미국의 대표적인 외교관이다. 특히 6자 회담 수석대표로 활동하며 북한과의 협상을 주도, 북핵 문제 해결에 크게 기여했다.
  • 제임스 B. 스미스, 사우디아라비아 주재 미국 대사(2009–2013)
  • 브라이스 프레데릭, 미국 국무부 외교 보안 (DS) 특별 요원(2019–2021)


;민간

  • 숀 스파이서, 제30대 백악관 대변인을 역임했다. 2017년부터 2017년까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에서 백악관 대변인으로 활동하며 잦은 거짓말과 과장된 발언으로 논란을 일으켰다.
  • 캣 캐맥, 미국 하원의원, 플로리다 제3선거구(2021-)
  • 프랭크 히메네즈, 전 미국 해군부 법률 고문(2006–2009)
  • 휴고 토이펠 3세, 제2대 미국 국토안보부 최고 정보 보호 책임자(2006–2009)

6. 1. 1. 해군


  • 제레미 마이클 보르다 제독은 제25대 해군참모총장을 역임했다.(1994–1996) 보르다 제독은 해군 개혁에 힘쓴 인물로 평가할 수 있다.
  • 엘모 줌월트 제독은 제19대 해군참모총장을 역임했다.(1970-1974) 줌월트 제독은 해군 현대화와 인종차별 철폐에 기여한 인물로 평가할 수 있다.
  • 윌리엄 F. 할시 주니어 원수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제3함대 사령관을 역임하였다. 할시 제독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활약한 인물이나, 과도한 공격성으로 비판받기도 한다.
  • 체스터 W. 니미츠 원수는 태평양 함대 사령관(1941-1945), 제10대 해군참모총장(1945–1947)을 역임했다. 니미츠 원수는 태평양 전쟁을 승리로 이끈 명장으로 평가할 수 있다.
  • 앨런 셰퍼드 소장은 1961년 미국 최초의 우주 비행사였으며, 1971년 달 착륙에 성공한 인물이다.

6. 1. 2. 해병대


  • 월터 보머(Walter Boomer) 미국 해병대(U.S. Marine Corps) 사령관 보좌관, 1992–1994
  • 제임스 E. 카트라이트(James E. Cartwright) 미국 해병대, 합동참모차장, 2007–2011
  • 마이클 헤이지(Michael Hagee) 미국 해병대, 미국 해병대 사령관, 2003–2006


분류:미국 해군참모대학교 동문

6. 1. 3. 육군


  • 랜디 조지 대장, 미국 육군 참모총장, 2023년–현재
  • 스탠리 맥크리스털 대장, 국제 안보 지원군/아프가니스탄 주둔 미군 사령관, 2009년–2010년
  • 존 샬리카슈빌리 대장, 합참의장, 1993년–1997년
  • 레이먼드 T. 오디어노 대장, 미국 육군 참모총장, 2011년–2015년
  • 마이클 플린 중장, 국방정보국 국장, 2012년–2014년
  • 마크 밀리 대장, 합참의장, 2019년–2023년

6. 1. 4. 공군


  • 찰스 A. 개브리얼(Charles A. Gabriel) 대장, 미국 공군 참모총장, 1982–1986

6. 1. 5. 우주군


  • 존 W. 레이먼드 미국 우주군(USSF) 대장, 우주 작전 최고 책임자, 2019–2022
  • 브리 프램 미국 우주군(USSF) 대령

6. 1. 6. 외교


  • 크리스토퍼 R. 힐, 이라크 주재 미국 대사(2009–2010), 동아시아 및 태평양 담당 차관보(2005–2009)는 북핵 문제 해결에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 미국의 대표적인 외교관이다. 특히 6자 회담 수석대표로 활동하며 북한과의 협상을 주도, 북핵 문제 해결에 크게 기여했다.
  • 제임스 B. 스미스, 사우디아라비아 주재 미국 대사(2009–2013)
  • 브라이스 프레데릭, 미국 국무부 외교 보안 (DS) 특별 요원(2019–2021)

6. 1. 7. 민간

6. 2. 국제

미국 해군참모대학교는 세계 각국의 해군 및 군 고위 관계자들을 교육해왔다. 특히, 인도, 방글라데시, 스리랑카 등 여러 국가의 해군 참모총장들이 이 학교를 졸업했다. 레바논의 대통령을 역임한 에밀 라후드(Émile Lahoud)도 이 학교 출신이다.

7. 한국과의 관계

8. 같이 보기

참조

[1] 웹사이트 Original U.S. Naval War College http://tps.cr.nps.go[...] National Park Service 2014-11-05
[2] 간행물 NRISref
[3] 서적 Naval War College: The Navy's Home of Thought Faircount Media Group 2011
[4] 웹사이트 U.S. Naval War College: History http://www.usnwc.edu[...] U.S. Naval War College 2011-05-23
[5] 서적 Playing War: Wargaming and U.S. Navy Preparations for World War II Potomac Books 2016
[6] 웹사이트 U.S. Naval War College | College of Naval Command and Staff https://www.usnwc.ed[...] 2014-09-03
[7] 문서 College of Distance Education https://usnwc.edu/co[...]
[8] 웹사이트 National Security Affairs Department https://www.usnwc.ed[...] US Navy 2024-08-08
[9] 웹사이트 U.S. Naval War College | College of Naval Warfare https://www.usnwc.ed[...] 2014-09-03
[10] 웹사이트 U.S. Naval War College https://www.neche.or[...] New England Commission of Higher Education 2024-12-12
[11] 웹사이트 Frequently Asked Questions http://www.usnwc.edu[...] U.S. Naval War College 2013-08-14
[12] 웹사이트 History http://www.usnwc.edu[...] U.S. Naval War College 2013-08-14
[13] 웹사이트 Overview of the Naval War College PRess http://www.usnwc.edu[...] U.S. Naval War College 2011-05-23
[14] 웹사이트 Naval War College Press https://www.usnwc.ed[...]
[15] 웹사이트 Research Guides of the Naval War College http://usnwc.libguid[...] U.S. Naval War College 2013-08-12
[16] 논문 Inside the Archives: Hector Bywater and William Honan in the Naval Historical Collection, U.S. Naval War College http://www.ijnhonlin[...] 2016-01-14
[17] 웹사이트 NRHP nomination for Original US Naval War College http://nrhp.focus.np[...] National Park Service 2014-11-05
[18] 웹사이트 Naval War College gets $12.3M for Sims Hall renovation https://pbn.com/nava[...] Providence Business News 2019-10-28
[19] 간행물 Live in '75: The Man in Black at USNWC Naval War College Foundation 2022
[20] 웹사이트 About U.S. Naval War College https://www.usnwc.ed[...]
[21] Youtube Sean Spicer's SPICIEST moments - Vol. 1 https://www.youtube.[...] 2017-02-07
[22] 웹사이트 SAF Leadership http://www.mindef.go[...] MINDEF 2014-08-10
[23] 뉴스 Admiral DK Joshi takes over as new Navy Chief https://web.archive.[...] Ibnlive.in.com 2013-07-23
[24] 웹사이트 Admiral Radhakrishna Hariram Tahiliani, PVSM, AVSM http://irfc-nausena.[...] Information Resource Facilitation Centre, Indian Navy 2011-10-18
[25] 웹사이트 Distinguished Alumni https://www.usnwc.ed[...] 2013-07-22
[26] 뉴스 Navy Chief attends 19th Sea Power symposium at Newport -USA http://defence.lk/ne[...]
[27] 웹사이트 Bordado is new Navy chief: Sobejana https://www.pna.gov.[...]
[28] 웹사이트 Faculty {{!}} Jessica D Blankshain https://usnwc.edu/Fa[...] 2024-08-07
[29] 웹사이트 Faculty {{!}} Lindsay P Cohn https://usnwc.edu/Fa[...] 2024-08-07
[30] 웹사이트 Joan Johnson-Freese https://extension.ha[...] 2024-08-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